티스토리 뷰

목차



    장르: 미스터리, 서스펜스, 하드보일드 / 개봉: 2018 / 감독: 이창동 / 주연: 유아인, 스티븐 연, 전종서

    영화 "버닝"은 2018년에 개봉한 이창동 감독의 한국 심리 스릴러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인 "헛간을 태우다"를 각색한 작품으로, 서스펜스와 드라마, 사회적 논평을 정교하게 엮어내었습니다. 영화는 소외와 집착, 사회 경제적 격차 등의 주제를 심오하게 다루고 있으며, 관객을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 속으로 몰입 시킵니다. 뛰어난 전개와 탁월한 연기, 그리고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로 찬사를 받은 영화 버닝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각 캐릭터

    영화 버닝은 시골에서 생계를 유지하며 작가의 꿈을 꾸고 있는 종수라는 남자의 이야기를 따라갑니다. 그의 평범한 삶은 어릴 적 친구인 해미와 재회하게 되면서 극적으로 변화합니다. 해미는 종수에게 아프리카 여행을 갈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이 떠나 있는 동안 자신의 고양이를 돌봐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떠납니다. 아프리카 여행 이후 돌아오게 된 해미는 종수에게 여행 중 만난 부유한 남자인 벤을 소개합니다. 벤의 수상한 성격과 비닐하우스 태우는 독특한 취미 등 수수께끼 같은 면모는 종수의 호기심과 의심을 자극합니다.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어느 날 갑자기 해미가 실종되면서, 종수는 벤에 대한 의심의 끈을 놓지 않고 그에게 집착하게 됩니다. 그는 벤의 삶을 조사하면서 불안한 진실을 밝혀 내고, 해미의 실종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더욱 깊어지게 됩니다.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애매모호하면서도 생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끝나며, 관객들에게 영화 후에도 지속적인 질문거리를 던져줍니다. 종수의 캐릭터는 수동적인 관찰자 시점에서 벗어나 점점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며, 영화는 그의 내면의 혼란과 절망을 세밀하게 그려냅니다. 영화 속 캐릭터들은 각기 다른 사회와 인간 본성을 대표하며 정교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종수는 경제적 불안정과 개인적 불안함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하위 계층의 좌절과 꿈을 체현하는 캐릭터입니다. 해미는 변덕스럽고 수수께끼 같은 존재로서 행복의 일시적인 성질과 실존적 의미에 대한 고찰을 그려내는 캐릭터입니다. 반면 벤은 부유한 상류층의 불가해적 면모를 묘사하고 있으며, 캐릭터의 매력 속 잠재된 어둠을 그려냅니다.

    원작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인 헛간을 태우다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이창동 감독은 이러한 원작의 스토리를 확장하며 창의적으로 각색하였습니다. 원작 소설에서는 이름 없는 화자가 등장하며, 그의 여자친구의 부유한 친구가 헛간을 태우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고 털어놓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 내용이 중심입니다. 이 단편 소설은 미니멀리즘과 내면적인 접근을 통해 캐릭터 간의 상호작용에서 느껴지는 심리적인 긴장감과 불가사의함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창동 감독의 영화는 이러한 원작 소설의 이야기에 충실하면서도 복잡성과 사회적 논평 거리를 더하며 스토리의 깊이와 무게를 더했습니다. 주인공인 종수가 가진 작가로서의 열망과 고투, 해미의 실존적 취미, 그리고 벤의 사이코 패스적 경향이 더욱 확장되어 캐릭터들에 깊이를 더하고 각각의 배경 이야기를 부여합니다. 영화는 이러한 배경을 현대의 한국 사회로 옮겨와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 문제에 대해 더욱 풍부하게 다루어내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 중 하나는 종수의 불안한 가족사, 특히 그의 아버지와 관련된 법적 문제와 그것이 종수의 삶에 미친 영향을 추가한 것입니다. 이러한 추가적인 요소는 종수의 캐릭터에 새로운 측면을 더하며 그의 동기와 행동을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었습니다. 또한 영화는 해미의 실종과 그와 관련한 종수의 행동이 중심 플롯으로 전개되면서 미스터리 및 서스펜스적 장르의 개성을 더욱 뚜렷하게 만들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은 많은 부분에서 독자의 상상을 건드리지만, 영화는 캐릭터의 심리적, 감정적 지형에 대해 시각적 및 서사적 단서를 안겨줍니다. 두 작품 모두 열린 결말을 유지하여 불가사의함과 실존적 의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창동 감독의 각색은 무라카미의 원작에 대한 오마주이자 그 확장판으로 볼 수 있으며, 이야기의 주제를 더욱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영화의 메시지

    영화 버닝의 핵심에는 현대 사회를 관통하는 깊은 소외감과 단절감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캐릭터들의 상호작용과 개별적인 투쟁을 통해 정교하게 짜여 있습니다. 종수의 소외감은 영화 전반에 걸쳐 명확히 드러납니다. 그는 시골 외곽의 소외된 삶과, 작가로서의 고뇌, 그리고 아버지의 법적 문제로 인해 가족 내에서 고립감을 느낍니다. 해미와 벤과의 상호작용은 사랑과 질투, 의심의 복잡한 과정을 헤쳐 나가면서 그의 소외감을 더욱 강화합니다. 해미는 겉보기에 무관심한 세계에서 의미를 찾으려 하는 실존적인 탐구 과정을 상징합니다. 생존 이상의 깊은 의미를 갈망하는 그녀의 탐구는 자신의 삶에 대한 깊은 불만을 드러냅니다. 그녀의 갑작스러운 실종은 실존적 불안을 더욱 깊이 탐구하게 하며, 종수와 관객 모두에게 그녀의 운명과 존재의 본질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질문을 던집니다. 벤은 단절된 특권층의 이면을 그려냅니다. 그의 침착한 태도와 수수께끼 같은 취미는 일반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도덕적, 감정적 구조와 깊이 단절되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그의 캐릭터는 사회적, 경제적 격차가 뚜렷한 사회에서 부와 단절의 도덕적 함의를 고려하게 합니다. 영화 버닝은 이러한 캐릭터들을 통해 소외된 이들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영향을 탐구합니다. 영화는 개인들이 서로 점점 더 고립되는 세계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 절망적이라는 것을 시사합니다. 벤의 비닐하우스 태우기는 더욱 깊은 진실과 욕망을 숨기는 피상적인 구조를 파괴하는 것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상징적 정화와, 캐릭터들이 겪는 공허와 소외를 대면하는 방식을 다룹니다. 영화의 모호한 결말은 이러한 핵심 메시지를 강화하며, 관객들에게 해결되지 않은 긴장감과 답하지 못한 질문들을 떠오르게끔 만듭니다. 영화 버닝은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으며, 인간 연결의 본질, 사회 경제적 격차, 현대인들의 심리에 대한 성찰을 도모합니다.

    반응형